;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년 기준중위소득 단계별 상세 정보

2025년 기준중위소득 단계별 상세 정보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으로, 다양한 복지 제도의 수급 자격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보건복지부가 매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며, 기초생활보장급여, 에너지바우처, 노란우산공제 등 여러 정책에서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2024년 대비 6.42% 인상되어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을 가구원 수별로 단계별로 정리하고, 각 단계(30%, 40%, 50%, 60% 등)에 따른 금액과 활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국민 가구소득을 순위별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평균소득과 달리 소득 분포의 중앙값을 반영하므로, 경제적 불평등을 고려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적합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복지 정책(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과 건강보험료 판정, 소득공제 자격 등에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금액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가구원 수(1인~7인 이상)에 따라 다르며, 아래 표는 월 소득 기준으로 정리한 금액입니다(단위: 원).

 표 1: 기준중위소득 및 주요 복지 기준

가구원 수기준중위소득 (100%)30% (생계급여)40% (의료급여)50% (주거급여)
1인 가구2,353,316705,995941,3261,176,658
2인 가구3,770,8731,131,2621,508,3491,885,437
3인 가구4,835,7041,450,7111,934,2822,417,852
4인 가구5,884,0821,765,2252,353,6332,942,041
5인 가구6,897,5352,069,2612,759,0143,448,768
6인 가구7,879,7342,363,9203,151,8943,939,867
7인 가구8,829,3512,648,8053,531,7404,414,676

표 2: 교육급여 및 기타 복지 기준

가구원 수60% (교육급여)120%150%180%
1인 가구1,411,9902,823,9793,529,9744,235,969
2인 가구2,262,5244,525,0485,656,3106,787,571
3인 가구2,901,4225,802,8457,253,5568,704,267
4인 가구3,530,4497,060,8988,826,12310,591,348
5인 가구4,138,5218,277,04210,346,30312,415,563
6인 가구4,727,8409,455,68111,819,60114,183,521
7인 가구5,297,61110,595,22113,244,02715,892,832

참고:

  • 8인 이상 가구는 7인 가구 기준에 가구원 1인당 약 949,617원 추가(2024년 기준 추정).
  • 금액은 보건복지부의 2025년 고시를 기반으로 하며, 소폭 변동 가능.

단계별 기준중위소득 활용 사례

기준중위소득의 각 단계(%)는 복지 제도의 자격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아래는 주요 단계별 활용 사례입니다.

1. 30% 이하: 생계급여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
  • 내용: 생계비 지원(현금 지급, 최대 1인 가구 기준 약 70만 원).
  • 활용: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급여 수급 자격.
  • 예시: 1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705,995원 이하일 경우 생계급여 신청 가능.

2. 40% 이하: 의료급여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
  • 내용: 의료비 지원(병원비, 약제비 등).
  • 활용: 의료급여 1종(전액 지원) 또는 2종(일부 본인부담) 자격.
  • 예시: 2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1,508,349원 이하일 경우 의료급여 신청 가능.

3. 50% 이하: 주거급여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 내용: 임대료, 주거 유지비 지원.
  • 활용: 주거급여 수급 자격(예: 4인 가구 기준 약 294만 원 이하).
  • 예시: 3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2,417,852원 이하일 경우 주거급여 지원.

4. 60% 이하: 교육급여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인 가구.
  • 내용: 초·중·고 학생의 교육비(교복, 교재비 등) 지원.
  • 활용: 교육급여 및 방과후 자유수강권 제공.
  • 예시: 5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4,138,521원 이하일 경우 교육급여 신청 가능.

5. 100% 이하: 일반 복지 기준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
  • 내용: 다양한 복지 제도(에너지바우처, 한부모가족 지원 등)의 기본 기준.
  • 활용: 에너지바우처, 차상위계층 지원 자격.
  • 예시: 1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2,353,316원 이하일 경우 에너지바우처 신청 가능.

6. 120%~180% 이하: 기타 지원

  • 120% 이하: 건강보험료 감면, 청년희망키움통장 등.
  • 150% 이하: 재난적 의료비 지원, 지역별 복지 프로그램.
  • 180% 이하: 청년도약계좌, 일부 지자체 지원 사업(예: 서울시 청년수당).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기준중위소득은 소득인정액과 비교해 복지 자격을 판단합니다. 소득인정액은 아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 기타 지출비용)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활용 팁:

  • 소득인정액 계산이 복잡한 경우,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의 모의계산기를 활용하세요.
  • 재산(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등)은 지역별 소득환산율에 따라 계산되며, 세부 기준은 주민센터 문의 필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의 특징

  • 역대 최대 인상률: 2024년 대비 6.42% 인상, 저소득층 생활 안정 강화.
  • 가구원 수별 차등: 1인 가구부터 7인 이상 가구까지 세분화된 기준 제공.
  • 활용 범위 확대: 기초생활보장 외에도 건강보험료 판정, 법률구조 지원(기준중위소득 125% 이하) 등에 활용.

자주 묻는 질문 (FAQ)

Q: 기준중위소득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보다 높으면 복지 지원을 못 받나요?
A: 일부 지원(예: 차상위계층, 120%~180% 기준 프로그램)은 가능하니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Q: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언제 공시되나요?
A: 2024년 7월 보건복지부가 공시했으며,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마치며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소상공인, 자영업자, 저소득층 가구가 복지 제도를 활용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입니다.

생계급여(30%), 의료급여(40%), 주거급여(50%), 교육급여(60%) 등 단계별 기준을 통해 적합한 지원을 확인하고,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소득인정액을 계산해 보세요.

복지로 가기 >

추가 문의는 보건복지부 콜센터(☎129)로 연락하세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 단계별 상세 정보

2025년 기준중위소득 단계별 상세 정보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으로, 복지 제도의 수급 자격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2024년 대비 6.42% 인상되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다양한 복지 정책에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과 단계별(30%, 40%, 50% 등) 금액, 활용 사례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을 순위별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평균소득과 달리 소득 분포의 중앙값을 반영해 저소득층 지원에 적합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에너지바우처, 건강보험료 판정 등에 사용됩니다.

표 1: 기준중위소득 및 주요 복지 기준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100%) 30% (생계급여) 40% (의료급여) 50% (주거급여)
1인 가구 2,353,316 705,995 941,326 1,176,658
2인 가구 3,770,873 1,131,262 1,508,349 1,885,437
3인 가구 4,835,704 1,450,711 1,934,282 2,417,852
4인 가구 5,884,082 1,765,225 2,353,633 2,942,041
5인 가구 6,897,535 2,069,261 2,759,014 3,448,768
6인 가구 7,879,734 2,363,920 3,151,894 3,939,867
7인 가구 8,829,351 2,648,805 3,531,740 4,414,676

표 2: 교육급여 및 기타 복지 기준

가구원 수 60% (교육급여) 120% 150% 180%
1인 가구 1,411,990 2,823,979 3,529,974 4,235,969
2인 가구 2,262,524 4,525,048 5,656,310 6,787,571
3인 가구 2,901,422 5,802,845 7,253,556 8,704,267
4인 가구 3,530,449 7,060,898 8,826,123 10,591,348
5인 가구 4,138,521 8,277,042 10,346,303 12,415,563
6인 가구 4,727,840 9,455,681 11,819,601 14,183,521
7인 가구 5,297,611 10,595,221 13,244,027 15,892,832

참고: 8인 이상 가구는 7인 가구 기준에 1인당 약 949,617원 추가(2024년 기준 추정). 금액은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이며, 소폭 변동 가능.

단계별 기준중위소득 활용 사례

기준중위소득의 각 단계는 복지 제도 자격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아래는 주요 활용 사례입니다.

1. 30% 이하: 생계급여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
내용: 생계비 지원(최대 1인 가구 약 70만 원).
활용: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수급 자격.
예시: 1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705,995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2. 40% 이하: 의료급여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
내용: 의료비 지원(병원비, 약제비 등).
활용: 의료급여 1종(전액 지원) 또는 2종(일부 본인부담).
예시: 2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1,508,349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3. 50% 이하: 주거급여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내용: 임대료, 주거 유지비 지원.
활용: 주거급여 수급 자격.
예시: 3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2,417,852원 이하일 경우 지원.

4. 60% 이하: 교육급여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인 가구.
내용: 초·중·고 학생 교육비(교복, 교재비 등) 지원.
활용: 교육급여 및 방과후 자유수강권 제공.
예시: 5인 가구 소득인정액이 4,138,521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5. 100%~180% 이하: 기타 지원

  • 100% 이하: 에너지바우처, 차상위계층 지원.
  • 120% 이하: 건강보험료 감면, 청년희망키움통장.
  • 150% 이하: 재난적 의료비 지원.
  • 180% 이하: 청년도약계좌, 지자체 지원 사업(예: 서울시 청년수당).

롱테일 키워드

  • 2025년 기준중위소득 표
  • 기초생활보장 기준중위소득
  • 생계급여 소득 기준
  • 의료급여 자격 조건
  • 주거급여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소득인정액은 복지 자격 판단의 핵심입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 기타 지출비용)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활용 팁: 소득인정액 계산이 어려운 경우, 복지로 홈페이지의 모의계산기 또는 주민센터를 이용하세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의 특징

  • 6.42% 인상: 2024년 대비 역대 최대 인상률.
  • 가구원별 기준: 1인~7인 이상 가구 세분화.
  • 활용 확대: 건강보험료, 법률구조 지원(125% 이하) 등.

자주 묻는 질문 (FAQ)

기준중위소득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복지로(www.bokjiro.go.kr),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보다 높으면 복지 지원 불가?

120%~180% 기준 지원(예: 청년도약계좌) 가능.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 공시 시기는?

2024년 7월 공시,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

결론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복지 제도 자격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생계급여(30%), 의료급여(40%), 주거급여(50%) 등 단계별 기준을 확인하고,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소득인정액을 계산하세요. 문의는 보건복지부 콜센터(129)로 연락하세요.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대만 여행 주요 관광지와 예상 경비

대만은 다양한 문화와 자연경관, 그리고 풍부한 미식 문화를 자랑하는 아시아의 숨은 보석 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인 여행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며, 다양한 여행지와 합리적인 경비 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만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을 위해 주요 관광지와 예상 경비, 그리고 여행 팁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만 여행 지원금 신청하기 > 대만 여행 준비물 7가지 > 해외여행 항공권 비교사이트 > 숙소 알아보기 > 대만 여행 주요 관광지와 예상 경비 1. 주요 관광지 소개 타이베이(Taipei): 대만의 수도인 타이베이는 현대적인 도시와 전통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타이베이 101은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전망대에서 도시 전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린 야시장에서는 다양한 길거리 음식을 즐길 수 있으며, 용산사(龍山寺)는 대만의 대표적인 불교 사찰로 많은 이들의 방문을 받고 있습니다. 타로코 협곡(Taroko Gorge): 화롄(Hualien)에 위치한 타로코 국립공원은 대리석 협곡과 맑은 강물이 어우러진 절경을 자랑합니다. 트레킹 코스가 잘 마련되어 있어 자연을 만끽하며 산책하기에 좋습니다. 일월담(Sun Moon Lake): 대만 최대의 자연호수인 일월담은 산과 호수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합니다. 자전거 도로나 보트 투어를 통해 호수 주변을 둘러볼 수 있으며, 주변에는 원주민 문화촌도 있어 대만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양밍산(Yangmingshan) 국립공원: 타이베이 근교에 위치한 양밍산은 온천과 화산 지형으로 유명한 국립공원입니다. 봄에는 벚꽃이 만개하며, 다양한 하이킹 코스와 자연 경관을 즐길 수 있습니다. 아리산(Alishan) 국립풍경구: 치아이(Chiayi) 지역에 위치한 아리산은 고산 지대의 아름다운 일출과 운해로 유명합니다. 특히 아리산 삼림열차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체험 중 하나입니다. 2. 예상 경비 대만 여...

한 달 살기 지원금 신청하기

최근 국내 여러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숙박비, 체험비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을 해주는 이유와 '한 달 살기'의 장점에 대해 궁금하실텐데요. 한 달 살기 지원금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지원금 차이는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신청기한이 있으며 늦지 않게 신청 해서 지원금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지원금 신청하기 > 숙소 알아보기 > 한 달 살기 지원금 알아보기 '한 달 살기' 지원금 지역 경제 활성화 : 외부 방문자들이 지역에 장기간 체류하면서 숙박, 식사, 체험 활동 등을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여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경상남도는 '경남형 한 달 살이 프로그램'을 통해 5개 시군에서 시작하여 15개 시군으로 확대 운영하며, 참가자들의 소비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관광 자원 홍보 : 참가자들이 개인 SNS나 블로그를 통해 지역의 관광지, 문화, 축제 등을 소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한달 살아보니, 살기 좋은 부산'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숙박비와 체험비를 지원하며, 이들이 지역의 매력을 홍보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 인구 유입 및 정착 유도 : 일부 지자체는 '한 달 살기'를 통해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에게 지역 생활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정착을 유도합니다. 충청남도 아산시는 '아산 한 달살이'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화 교류 촉진 : 외부인과 지역 주민 간의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를 높이고,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증진시킵니다. 전라남도는 '남도에서 한 달 여행하기'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이 지역 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 ...
;